Post

LLM 성능 평가 ( 한국어 ) Use Case 분석해보기

LLM 성능 평가: 한국어 Use Case 분석

Curiosity: GPT-4o가 한국어에서 GPT-4-turbo보다 얼마나 더 나은 성능을 보일까? 정량적 평가를 통해 어떤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까?

한줄 요약: GPT-4o가 GPT-4-turbo보다 한국어에서 더 우수한 성능을 보입니다!

평가 배경

Retrieve: 팀에서 GPT-4o 도입을 검토했지만, 한국어 벤치마크 평가 결과가 부족하여 직접 정량적 평가를 수행했습니다.

평가 목적:

  • GPT-4o vs GPT-4-turbo 한국어 성능 비교
  • 정량적 메트릭 기반 객관적 평가
  • 실무 적용 가능성 검증

평가 방법론

graph TB
    A[평가 프로세스] --> B[데이터셋 선택]
    B --> C[CLIcK 데이터셋]
    C --> D[카테고리별 평가]
    D --> E[성능 비교]
    E --> F[결과 분석]
    
    G[GPT-4-turbo] --> E
    H[GPT-4o] --> E
    
    style A fill:#e1f5ff
    style C fill:#fff3cd
    style E fill:#d4edda
    style F fill:#f8d7da

데이터셋: CLIcK

Retrieve: KAIST Alice Oh 교수님 랩실에서 제작한 한국어, 한국문화 데이터셋을 사용했습니다.

데이터셋설명특징
CLIcK한국어/한국문화 데이터셋문화적 맥락 포함
출처KAIST Alice Oh Lab학술적 신뢰성
용도한국어 LLM 평가실무 적합성

평가 결과

결론: GPT-4o가 GPT-4-turbo보다 모든 카테고리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습니다.

카테고리GPT-4-turboGPT-4o개선도
전체 평균Baseline⬆️ Better모든 카테고리
세부 카테고리-⬆️ 우수일관된 향상

평가 프로세스

1. 데이터 준비

  • CLIcK 데이터셋 로드
  • 카테고리별 분류
  • 평가 케이스 준비

2. 모델 평가

  • GPT-4-turbo 실행
  • GPT-4o 실행
  • 결과 수집

3. 성능 비교

  • 카테고리별 분석
  • 정량적 메트릭 계산
  • 시각화 (GPT-4o가 그래프 생성)

코드 및 리소스

👉 GitHub Repository: https://github.com/corca-ai/evaluating-gpt-4o-on-CLIcK

포함 내용:

  • 평가 코드 (재현 가능)
  • 결과 데이터
  • 시각화 그래프
  • 상세 메트릭

코드 리뷰: 평가 과정의 투명성을 위해 코드를 공개하여 검증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평가의 신뢰성

측면보장 사항이유
정량적 평가객관적 메트릭수치 기반 비교
코드 공개재현 가능성검증 가능
학술 데이터셋신뢰성CLIcK 사용
카테고리별 분석세부 인사이트포괄적 평가

향후 계획

Innovate: 한국어 벤치마크에 대한 SOTA LLM 평가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다음 단계:

  • 추가 모델 평가
  • 다양한 벤치마크 적용
  • 실무 Use Case 확장

제안 요청: 테스트해볼 모델이나 벤치마크가 있으면 댓글로 제안해주세요!

Key Takeaways

Retrieve: 정량적 평가를 통해 GPT-4o가 한국어에서 GPT-4-turbo보다 모든 카테고리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했습니다.

Innovate: 공개된 평가 코드와 방법론을 활용하여 다른 모델들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한국어 LLM 성능에 대한 인사이트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Curiosity → Retrieve → Innovation: 한국어 성능에 대한 호기심으로 시작하여, 정량적 평가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무 적용을 혁신합니다.

다음 단계:

  • GitHub에서 평가 코드 확인
  • 다른 모델 평가 적용
  • 한국어 벤치마크 확장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